안녕하세요, 오늘은 익스플로러의 검색 공급자를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릴텐데요.
대부분 설정을 따로 하지 않는 한 기본 검색 공급자는 'Bing' 일텐데요,
물론 이 'Bing'이 편하신 사람들도 있을테지만, 대체로 검색은 'Google'을 선호하는 편인데요.
그래서 그 검색 공급자 변경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요즘 누가 익스플로러 쓰나.. 한국은.. 그래도 쓰긴 써야하는 불편한 진실..)
일반적으로 익스플로러는 기본 값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Bing'으로 잡혀있어서 이러한 결과를 보여줄텐데요.
<Bing의 검색결과>
물론 이 'Bing'이 편한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검색은 확실히 'Google'이 편한지라 많이들 구글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사실 제가 '오늘의 날씨'라는 단어를 검색해서 저렇게 나온거지, 일반적인 검색시 광고부터 시작합니다.
둘의 검색 알고리즘이 다른지라 정렬순위도 많이 다른편입니다.
자 그럼 어떻게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검색 공급자를 구글로 바꾸냐?
1. 인터넷 익스플로러 우측 상단에 보시면, 1번 톱니모양을 클릭후, 2번 추가 기능 관리를 클릭합니다.
2. 그럼 이러한 화면이 중앙에 뜰텐데요, 여기서 검색공급자를 클릭합니다.
3. 그럼 이와 같은 화면이 뜰텐데요. 여기서 좌측하단에 있는 추가 검색 공급자 찾기를 클릭해줍니다.
4. 그럼 새창이 뜨면서 약 10가지의 검색공급자가 뜨는데요, 원하시는 공급자 하단에 있는 [추가>] 버튼을 누르시면
5. 여기서 추가를 눌러주신 뒤, 떠있는 '추가 기능 관리' 창을 닫고 다시 켜줍니다. (1~3 순서 반복)
6. 그러면 이와 같이 검색공급자가 추가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공급자 선택 후 우측 하단에 [기본값으로 설정]을 누르시고 [닫기]를 누르셔서 닫으시면 끝납니다.
<검색공급자 Google의 검색결과>
이렇게 익스플로러의 검색공급자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참고로 구글뿐만이 아니라 5번 사진에서 원하시는 검색공급자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예: 네이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o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WSL2에서 jdk 설치하기 (ubuntu, jdk, path) (0) | 2023.07.31 |
---|---|
[Windows] WSL2 설치 (BIOS, Linux, Ubuntu 22.04 LTS, 0x800701bc) (0) | 2023.07.30 |